반응형 전체 글275 [김효진 위원] 세계 리더 자처하던 미국, 위기에 드러낸 ‘민낯’은? - 달러 강세 약세의 원인 1) 강세 - 경기 둔화 + 금리 인상 : 2015년, 2018년, 2022년 - 경기 침체 + 금리 인하 : 2008년, 2020년 2) 약세 - 경기 둔화 + 금리 인하 : 2012년 - 경기 침체 + 금리 인상 : 2017년 - 올해의 달러 상승률이 역대급으로 높음. 1. 환율을 통해 물가 안정을 도모했던 것으로 추정. (달러 강세가 미국에게 유리했으므로 유도/용인) 2. 미국내 금융안정 --> 미국 국채시장에서 해외 정부가 30%보유, 연중이 23% --> 올해 해외정부 물량이 많이 나옴 (외환보유액) --> 일본의 경우 2021년 최고치 대비 17% 감소(환방어) --> 미국에서 태도가 변화중임. 3. 미국 기업의 득실 --> 미국 매출의 40%가 해외 매출 --> 강.. 2022. 12. 3. [안유화 교수] '50년'만에 찾아온 큰 돈 벌 기회, 절대 놓치지 마세요 - 자녀에게도 대기업에 들어가라는 조언보다는 어느 산업으로 들어가서 성장할 것인지를 생각해라. - 경제 주기 4) 50년 : 기술혁신으로 인한 세상의 변화 (ex. 인터넷) 인터넷 기술 70년대 --> 구글, 알리바바는 98년에 창업 --> 인터넷의 대중화 90년대 --> 2008년 모바일 인터넷의 정점. - 인류의 문제를 해결한 기업이 세계적인 기업이 된다. --> 인류의 문제는 "신용" - web 3.0 시대의 핵심은 수학을 통해 신용 문제를 해결하면 폭발적인 성장을 함. 신용 = 금융 = 경제성장 - 에버렛 로저스의 기술 수용 곡선 : 새로운 기술의 2.5%는 혁신수용자, 13.5% 선각 수용자 --> 16%가 기술을 안착시키기 위해 노력함. (캐즘 마케팅) 지금은 16%가 노력하는 단계이고 이후 .. 2022. 11. 20. 브랜드마케팅에 대한 고찰 제품의 개발 업무를 하고 있는 우리 팀에게 팀장이 질문했습니다. "애플의 팬덤이 우리는 왜 없는거야?" 우리에겐 잡스 형님이 없으니까.. 라고 말할순 없었습니다. 그럼 어디서부터 생각을 해봐야 할까요? 애플 뿐만아니라 모든 기업은 팬덤을 형성하고 충성도 높은 고객을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걸 우리말로는 '단골'이라고 합니다. 그럼 단골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단골에게 기업의 이미지를 만들어 심어주야 하는데 그걸 브랜딩이라고 하지요. 하지만 브랜딩이란 말의 정의를 내리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사람마다 가치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정답이란건 없을것입니다. 그럼 어떠한 방법으로 브랜딩을 해야할까요? 사용자들에게 익숙해여야만 합니다. 고객의 시선에 자주 나타나게하고, 기업/상표를 익숙하게 만들어야.. 2022. 11. 19. [윤제성CIO] 경기침체는 필연적! 인플레이션이 향하는 곳은? -> FED가 고용지표가 꺽이는걸 확인하는걸 다 기다릴수는 없을것이다. --> 물가지표가 꺽이는 것을 봐야 할것. -> 소비자 물가지수(Headline CPI)가 주식을 움직임. -> 소비자 물가지수가 낮게 나와면 덜 올릴거라고 생각하고 사람들이 흥분할수 있음. --> "뭐가 깨질때까지 올린다"...여기서 "뭐"는 금융위기나 사고 가능성 -> 일본 보험회사들이 미국채 장기물들을 갑자기 팔고 있다. --> 일/중/사우디등이 팔고 있음. --> 하지만 미국 보험회사들이 매력적으로 보고 있음. * 골프를 해도 홀을 보는 것이 아니라 흐름을 보라! -> 부동산 : 전자상거래와 팬데믹이 겹치면서 대형 쇼핑몰이 30~40% 하락함. 정상화단계, 단, 오피스는 하락할 가능성이 있음. [ 한경글로벌마켓 ] 2022.1.. 2022. 11. 6. [도쿄나우]선진국 최악의 통화가치 폭락..엔화는 왜 안전자산 지위를 잃어버렸나 - 그렇다면 지금은 집을 사지 않는 것이 손해라는 의식이 팽배해짐. 일본의 경제가 망가졌기 때문임. 아베노믹스의 부작용이 나타난 것임. --> 2010년대 엔화 가치 급등을 피해 생산시설이 해외로 이동하였기 때문임. --> 일본은 에너지의 90%, 식료품의 60%를 수입 (엔저는 수입부담을 증가시킴) --> 엔화의 실질실효환율은 달러당 엔화가치가 360엔이었던 1973년과 같음(50년 퇴보함.) [ 한경글로벌마켓 ] 2022.10.29 - 1990년 1억엔 아파트를 구매했다면? - 매달 원리금 상환 및 이자는 64만엔 상환 - 2022년에 구매했다면 매달 25만엔 상환 --> 현재 39만엔이면 오늘날 도쿄 도심의 고급아파트 임대 가능 - 그렇다면 지금은 집을 사지 않는 것이 손해라는 의식이 팽배해짐. 2.. 2022. 10. 29. [전인구소장]투자자들이 급히 홍콩증시를 탈출하고 있습니다 - 리커창, 후진타오 주석을 끌어내림 --> 나눠가던 권력을 1당체제 독재로 바꾸어 버림. ===> 경제성장보다 정치 안정이 더 중요한 시기. --> 시장 친화적 정책은 나오기 어려움. - 하락장에서는 공포에 휩싸여 있기 때문에 헤지 펀드들이 전세계의 약점을 찾아 집요하게 공격함. 가스, 금리, 환율, 원유등 가리지 않음. --> 약점이 있는 곳에는 투자를 안하는 것이 좋다. [ 전인구경제연구소 ] 2022.10.24 https://www.youtube.com/watch?v=3Eg5MsONfw8 - 시진핑 주석 3연임 확정. - 리커창, 후진타오 주석을 끌어내림 --> 나눠가던 권력을 1당체제 독재로 바꾸어 버림. ===> 경제성장보다 정치 안정이 더 중요한 시기. --> 시장 친화적 정책은 나오기 어려.. 2022. 10. 24.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4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