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주거비 : 하우징 매매 가격 , 렌트비 지표를 봐야함. --> 7월 CPI에 반영될듯.
- 7월 CPI가 이후 금리의 방향을 정할것이다.
- 지수가 떨어진다 하더라도 건강한 기업은 살아남을 것이다.
[ 전인구경제연구소 ] 2022.7.13
- 6월 CPI는 7월에 발표 --> 8월에 발표할 지수, 9월에 발표할 지수가 중요함.
원유/곡물들이 상승하면 다음달 지수가 높아질수 있음.
- CPI의 구성요소
1. 소비자 물가지수
2. 근원소비자 물가 지수 : 소비자 물가지수 - (식품, 에너지)
- 4,5월까지를 보면 소비자 물가지수는 줄었으나 근원소비자 물가는 감소량이 작음 = 에너지, 식품가격 상승이 컸다는 뜻
- 유가 : 작년 10월부터 상승하면서 6월이후 하락이 보이는데 7월 CPI에는 하락 반영이 안되고 8,9월에 반영될듯함.
- 곡물 : 작년 10월부터 상승후 5월부터 급락 --> 기대 인플레가 남아 있어 곡물 가격은 하락이 안되고 있음.
--> 9월 이후에 반영될듯 함.
- 미국 주거비 : 하우징 매매 가격 , 렌트비 지표를 봐야함. --> 7월 CPI에 반영될듯.
--> 렌트비용 (6월 2bed room)지표 : 5월대비 2.9% 하락 --> 2020년 이후 처음 하락.
임대료 급등지역이 급락하고 있음. --> 미국도 빚내서 집사는게 부담스러운 상황.
- 7월 CPI가 이후 금리의 방향을 정할것이다.
- 지수가 떨어진다 하더라도 건강한 기업은 살아남을 것이다.
# 본 글은 주식 매수 매도 추천글이 아닙니다. 또한, 단순한 정보 정리를 위함이며, 투자 권유를 위한 글은 아닙니다.
# 본 글에서 거론된 주식의 매수, 매도는 투자자 본인의 판단이며, 그 결과 또한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경제적 자유 > 유튜브 스승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종훈 기자] 스리랑카 이후 국가부도 도미노 시작? 과연 한국은 안전한가? (0) | 2022.07.15 |
---|---|
[최배근 교수] 한은. 기준금리 2.25%결정 - 물가 환율에 미칠 영향은? (0) | 2022.07.14 |
[김영익 교수] 고환율 시대는 어떻게 마무리 될 것인가? (0) | 2022.07.13 |
[김영익 교수]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를 통한 주가 예측 (0) | 2022.07.12 |
[서대리] 개인형IRP 계좌를 2개 만들어야하는 이유 (0) | 2022.07.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