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적 자유/유튜브 스승님190 [강환국 작가] 월가의 퀀트 투자 바이블 교훈 7가지! - 그날그날 주목받는 주식에 사로잡히면 장기적으로 수익률이 크게 낮아진다. (뜨끔...) - 그저그런 전략 + 일관성 > 전략 점핑/즉흥적 투자 [강환국 작가] 22.2.14 - 월가의 퀀트 투자 바이블의 교훈 1. 항상 전략을 사용하라. : 스토리가 좋아서 주식을 매수한다면 성공하지 못한다. 그날그날 주목받는 주식에 사로잡히면 장기적으로 수익률이 크게 낮아진다. (뜨끔...) 2. 단기는 무시하라 : 투자자들은 본능적으로 전략의 초단기 성과에 과도하게 집중함. 장기 성과를 무시한다. 3. 장기적으로 입증된 전략만 사용하라 : 15년 동안 효과 있는 전략도 무너질수 있다. 자신의 투자 철학을 뒷받침하는 장기 데이터를 고수하라. 4. 깊게 파라. : MDD 이후 손실 복구에 걸린 시간을 분석하라 5. 일관.. 2022. 2. 14. [존리대표] 지금 팔아야 하는 주식, 종목 교체 해야 하는 주식 이렇게 (?) 결정하세요 - 시장을 이기는 것은 불가능하다. Stay하라. 좋은 주식은 올라가게 되어 있다. - 주식시장에서 실패하는 이유는 "너무 쉽게 사고 팔수 있어서"이다. - 현재의 수익이 중요한게 아니고, 미래의 성장이 중요한 것이다. [존리 대표] 22.2.13 - 주식을 팔때는 내가 돈이 필요할때! - 존리대표의 조언 1) 연금저축펀드부터 투자하라. 2) 내가 아는걸 투자하라. 3) 일직선으로 올라가는 주식은 없다. (변동성) - 여유자금으로 투자해야하는 이유 마켓타이밍으로 투자하는건 잘못된 것이다. 항상 투자가 되어 있어야 한다. 나이에 따라 변동성의 영향이 크므로 주식/현금의 비중을 달리해야한다. - 시장을 이기는 것은 불가능하다. Stay하라. 좋은 주식은 올라가게 되어 있다. - 주식시장에서 실패하는 이유는 .. 2022. 2. 13. [강환국 작가] 몇번으로 지수 수익을 이길 수 있는 방법 - 마켓타이밍 지표투자 1) 단기 투자 : 코스닥 3/5/10일 이동 평균선 대비 전일 코스닥 지수가 오르면 매입/내리면 매도 2) 중장기 투자 : 코스닥 10/20일 이동 평균선 대비 전일 코스닥 지수가 오르면 매입/내리면 매도 https://www.youtube.com/watch?v=dVT2-yCWBXs - 젠포트 : 미국주식, 한국주식, 코인 백테스트 + 투자 전략 마켓 - 자산 리밸런싱 + 투자 자동화 - 마켓타이밍 지표투자 1) 단기 투자 : 코스닥 3/5/10일 이동 평균선 대비 전일 코스닥 지수가 오르면 매입/내리면 매도 2) 중장기 투자 : 코스닥 10/20일 이동 평균선 대비 전일 코스닥 지수가 오르면 매입/내리면 매도 2022. 2. 12. [전인구 소장] 장단기 금리가 역전하면 주식시장에 벌어지는 일 - 금리 스프레드 = 10년물 금리 - 2년물 금리 - 금리 역전 현상 그해/다음해정도 큰 폭락이 올수도 있다고 경험적으로 예상 == 증시 폭락 - 중요한 것은 경기 상승시점에서 긴축이 더 강력하다면 금리 역전 현상이 나올수도 있는 것임. - 최근 20년동안 경기 상승기에 긴축을 하게되어 금리 역전이 발생하면 1~2년간 약세장이 이었음. [전인구 경제 연구소] 22.2.10 - 미국채 2년물(단기, 물가) / 미국채 10년물(장기) - 정상적이라면 단기 장기가 되는 경우가 있음. 1) 단기 장기 : 경제 하락 예상 --> 단기 채권 상승 - 금리 스프레드 = 10년물 금리 - 2년물 금리 --> 금리 스프레드 < 0 : 금리 역전 .. 2022. 2. 12. [김현석] 인플레 우려에 우크라이나 전쟁설 - 과거 21번의 전쟁시 주가 trend : 큰 영향 없었음. 1) 전쟁 첫날 : S&P 500 첫날하락은 평균 -1.5% 2) 전쟁기간 전체 : -4.6% (19.7일) 하락, 지수회복(42일 소요) [김현석의 월스트리트 나우] 22.2.12 - 11일 뉴욕증시 : CPI + 금리 폭등 충격에서 벗어나는 중이었으나 러시아 전쟁 가능성 대두 --> 급락 - FOMC회의 : FED 이사 + 지역 연방은행 총재 - FED가 0.5%p 올리지 않을 만한 이유(FED가 흘린것 같음.) 1) 긴급인상등은 FED가 인플레이션에 크게 뒤쳐져 있다는 인상을 고착시킬 가능성 2) 시장에 충격을 줄수 있다. FED는 물가를 잡을수 있으며 하반기는 인플레이션이 둔화될 것 3) 3월 FOMC 이전에 2월 CPI를 재 확인해야.. 2022. 2. 12. [캔들스토리] 물가급등, 금리 폭등 그 다음에 일어난 일 - 금리인상 --> 기업 폐업 --> 저축대부은행의 위험한 투자 증가 [캔들스토리] 22.2.11 - 1980년대 미국의 금융시장을 흔들었던 S&L(Saving & Loan : 저축 대부조합) 위기(한국의 저축은행과 유사) - 지금과 많이 유사함.- 1960년대 이후로 대도시 주변 주택개발 붐 --> 대부조합 주택 대출 상품 개발 --> 과거 대공황때 만들어진 은행 예금이자의 상한선 법 (Regulation Q) --> 시장의 이자보다 낮은 예금이자 가능 --> 저축 대부조합 활기 --> 투기자금 몰림 --> 부동산 가격 상승 (~1982년) - 1970년대 오일쇼크로 스테그 플레이션 발생 --> 금융규제 완화(대출 추가/금리 상한선 삭제) --> 대부조합 과다 경쟁(예금이자 크게, 대.. 2022. 2. 11.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3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