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73 [강환국 작가] 싼 주식과 비싼 주식을 어떻게 구분해? - PER/PBR/ROE에 대한 이해 및 활용 전략 [강환국 작가] 21.6.27 - 549번 영상 - 주식의 가치를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 아무리 좋은 기업이라도 적정가에 사야함. - 순이익 대비 (PER = 시가총액 / 순익) : A. 일시적인 순익 증가는 제외 B. 적자 기업은 제외 (대부분 뉴스에 많이 나오거나 HOT한 기업) C. PER 상위 20%는 건들지 말것. D. PER 10%를 보자 ( PER 1.95) B. 하위 10% ( < 0.7) - ROE (= 순이익 / 순자산) : 5년 평균 ROE를 볼것 A. 중간값 이상 비추( < 6.5) B. 적자 기업 제외. C. 5년 평균 10% 이상(.. 2022. 1. 20. [소수몽키] -10% 결국 조정장 진입한 나스닥, 어떻게 대응할까? - 쉽게 해설해주시는 소수몽키님 [소수몽키] 2.22.1.20 - 조정장 : (월가에서) 고점에서 -10%넘게 빠지는 조정장 진입으로 생각함. - 21.3월(-10.9%) 이후 22.1월 진입, 1971년 이후 조정장 66번 진입 --> 1년에 한두번은 조정장이 오더라 - 조정장 진입(통계적) --> 1주정도 반등/ 1개월 이내 / 3개월 이후 수익 진입 - 바이든 1년 취임사 : 인플레부터 잡읍시다! --> 연준의 움직임 예상 - 금리 인상예상. 얼마나 빨리 오르는가가 문제. - 사람들의 우려가 강할때 조금씩 사서 모으는게 수익에 도움이 된다고 봄 - 금리 급등 --> 나스닥 급락 - 2016년과 비슷한 분위기로 보임 ('15년 12월 -16.3% --> 7개월 이후 7.1% 상승마감) - 장기계좌(절.. 2022. 1. 20. [디벨롭몽] 올해, 장기투자자의 80%가 떨어져 나갈겁니다. - 레버리지 ETF 웅덩이 매매법 - 올해의 목표는 수익률이 아닌 수량 [디벨롭몽] 2022.1.9 - 3월 금리인상, 양적 긴축때 조정이 있을것이다. - 금융과 에너지섹터가 좋은 상태. - 임금 상승세 가속화 되고 있음. --> 실업률 하락, 임금상승 = 연준 매파. - 새해 첫 5거래일의 수익률 상승 = 그해 82%의 확률로 그해 상승 2002년과 같이 5거래일 수익률 하락 = 평균 1% 수익률... 중간선거가 있는해에는 변동성이 크고, 주식 약함. --> 다음해에 수익률이 높음. - 장기적으로 뛰어난 투자 성적을 얻으려면 단기적으로 나쁜 성적을 견뎌야 한다. -찰리멍거- 2022. 1. 19. [전인구 소장] 인플레이션에 대비하는 포트폴리오 - "돈의 흐름" 저자 [홍춘욱 박사+전인구 소장] 2021.9.29 - 인플레이션은 카드 청구서 처럼 늦게 오고, 멈추려하면 ABS 처럼 여러번 충격이 올것 같다. - 시나리오로 투자하자. - 햇지가 될것을 미리 준비하자. - 가치주도 무조건 오르는 것은 아니다. 가치주도 오르는 때가 있다. 가치가 무조건 싸다고 가치가 아니다. 가치는 시대에 따라 다르므로 성장하는 가치를 찾자 - 투자를 꾸준히 하지 않으면 다시 평범한 사람의 대열로 내려가게 된다. (부자? 1억? 10in10? 30억?) - 부동산 인상 -> 임대료 인상 -> 인금 인상 다만.. 고용이 주는 상황에서 인금인상 가능?? --> 빈익빈 부익부로 갈것같다. --> 사회적 문제가 생기는 인플레이션 --> 스테그 플레이션이 될수도... - 꽃.. 2022. 1. 19. [홍성현] 금리 상승기의 리츠 투자 - '숫자로 투자하라' 홍성현님의 ETF 리뷰 - ETF 구조를 보고 구체적으로 분석해주시는 분. [숫자로 투자하라] 2022.1.18 - 이자율 상승기? 리츠 투자하면 안되는거 아니냐????????? - 이자율 상승 = 리츠에 부정적, 거이 모든 금융자산에 부정적 주식(고성장주), 채권, 금/은, 원자재, 대체투자 M&A, 집값등.. - 대응전략 A. 이자율 상승 방향에 베팅 B. 현금 보유 C. 계속 투자(보수적으로) - C기준으로 설명함. - 현재 미국 시장 주식시장은 100년 미국 시장에서도 엄청 높은 구간임. (금융위기 x20, 현재 x40) - 리츠는 최근 10년간 금리하락에도 불구하고 횡보상태임. - 전반적인 입주율은 코로나 이후 회복세. retail, office는 상승이 뒤쳐지고 있음. .. 2022. 1. 18. [홍춘욱 박사] 금리가 급등할 때, 오르는 자산은? - 홍춘욱 박사님의 금리 인상시 오르는 자산 정리 - 미국 실질금리(10년) 상승기 = 달러 상승 [홍춘욱 박사] 2020.3.12 - 실질금리 = 명목금리 - 물가 상승률 - 미국 실질금리(10년) 상승기 A. Bad 종목 : 부동산, 금 - 부동산을 사고 싶으면 중앙은행 실질금리가 "-"인 경우 구매 고려. - 실물자산들은 금리 인상에 부정적. B. Gooood 종목 : 달러 C. 상관 없는 종목 : 미국/한국 주식은 실질금리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움. 2022. 1. 18.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4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