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적 자유/유튜브 스승님

[강방천 회장]두려워도 시장을 떠나선 안되는 이유

by SPICA910 2022. 7. 10.
반응형

- 항상 시장에서 떠날때의 심리는 '힘들때' 떠나는 것임. 하지만 가장 큰 수익률은 바닥에서 반등할때이다. 

   따라서 가장 반등이 큰 시점은 칵테일 이론의 1단계인 공포의 단계인 것이다. 

   --> 공포스럽더라도 분할매수를 계속 해야하는 시기이다.

- 역사적으로 이렇게 돈을 많이 뿌릴수 있을까? 이럴수 있었던 것은 디플레환경이 존재했음.

  ----> 다시 이러한 환경이 만들어 질수 있는 것인가? 불가능하다. 

- 강방천 회장의 투자 5계명

   1. 자본주의 시스템은 공산주의 시스템에 비해 승자의 시스템 이었다. 

   2. 자본주의 시스템을 승자로 이끈것은 혁신과 진보를 거듭한 기업의 존재 때문이다. 

   3. 이러한 위대한 기업은 늘 존재하지만, 늘 바뀐다. 따라서 시장을 떠나서는 안돼고, 늘 공부하라

   4. 이러한 위대한 기업의 주주가 될 권리와 의무는 우리에게 있는것이다. 

   5. 위대한 기업을 샀다면 인내하고 기다려라. 

- 생활속에서 떠날수 없는 기업은 주식을 팔지말고 가지고 있어라. 

- 2008년 이전이라면 사업을 확장하는 것이 좋은 기업이었는데 그것은 제조업. (서비스없은 수출이 안되었음.)

  이제는 서비스업이 수출이 되는 세상임. (구글, 넷플릭스, 웹소설, 음반(스트리밍) 등)  --> 다운로드 = 수출

   ------> 이런것이 생태계의 전환이다!!!!!

- 미래에는 근로 소득이 줄어들 것이다. 

    (농업시대) 일주일 내내 일해야함. -> (노동시대) 주 5일 -> (미래) 자본소득이 있어야 한다. 

    공포의 순간에 미래에 어떻게 영향을 줄것인지 계속 확인하라, 그리고 떠나지 마라!!

 

[ 부꾸미-부자를 꿈꾸는 개미  ] 2022.7.9

- 칵테일 이론으로 분석한 현재 시장 

   : 가격적 변수 Vs. 가치적 변수(Intrinsic Value)

     가격은 시작이 결정하지만 현재는 공포의 시장인 상태

- 칵테일 이론

    1단계 공포 : 파티의 참여자들이 펀드메니저에게 관심이 없다. (주식 시장에 진입 시점)

    2단계 일반 : 함께 앉아있는 상태

    3단계 경청 : 펀드메니저에게 경청하는 상태

    4단계 흥분 : 펀드메니저에게 주식을 추천하는 상태

- 현재는 1단계이므로 무조건 빚을 줄이되 시장을 떠나서는 안된다.

      --> 수익률을 저축하는 시대이나 이때 떠나면 얻을수 있는 수익률을 다 놓치게 된다. 

- 항상 시장에서 떠날때의 심리는 '힘들때' 떠나는 것임. 하지만 가장 큰 수익률은 바닥에서 반등할때이다. 

   따라서 가장 반등이 큰 시점은 칵테일 이론의 1단계인 공포의 단계인 것이다. 

   --> 공포스럽더라도 분할매수를 계속 해야하는 시기이다. 

- 과거의 경우는 V형조정이라 급격한 하락과 급격한 상승의 시기이다. 

  이번은 U자형으로 움직임이 느리게 진행되는 것으로 보인다. 

- 역사적으로 이렇게 돈을 많이 뿌릴수 있을까? 이럴수 있었던 것은 디플레환경이 존재했음.

   1. 중국에서 값싼 물건을 만들었음. 

   2. 유통혁명(아마존 효과, 쿠팡효과)의 잉여마진 혁명

   3. 각 기업들이 세계적인 생산 기지를 통한 최저가 조달

  ----> 다시 이러한 환경이 만들어 질수 있는 것인가? 불가능하다. 

중국은 임금이 오를것이고, 아마존은 유통마진을 유지할수 있는가? 각 국가는 리쇼어링을 통해 기업의 복귀를 유도하고 있다.  

- 현재의 고물가로 인한 현상이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어떤 메세지를 주고 있는가?

       : 고유가는 전기차의 시대를 유도할 것이다. 

- (6/24일)나스닥에서 70%이상 하락한 종목이 40%임. --> 거이 바닥인 상태 

               코스닥에서 50%이상 하락한 종목이 56%

- 위기의 시간에 재밌는 학습을 하라. = 흥분할때 냉정함을, 공포스러울때 다가섬!

- (질문) 주가지수가 30%빠졌다고 해서 우리 삶에서 필요한 제품과 서비스의 공급총량이 30% 빠진 것인가??

        --> 2년간 30%가 감소하더라도 주가에는 반영이 안됨. 주가는 10년, 20년의 미래 가치를 반영함. 

             2년은 10년의 1/5밖에 안됨. 주식 투자는 10년, 20년의 Value를 사는 것임. 

- 강방천 회장의 투자 5계명

   1. 자본주의 시스템은 공산주의 시스템에 비해 승자의 시스템 이었다. 

   2. 자본주의 시스템을 승자로 이끈것은 혁신과 진보를 거듭한 기업의 존재 때문이다. 

   3. 이러한 위대한 기업은 늘 존재하지만, 늘 바뀐다. 따라서 시장을 떠나서는 안돼고, 늘 공부하라

   4. 이러한 위대한 기업의 주주가 될 권리와 의무는 우리에게 있는것이다. 

   5. 위대한 기업을 샀다면 인내하고 기다려라. 

- 성공투자의 4대 원칙 

   1. 좋은 기업과 함께 하라

   2. 이왕이면 쌀때 사라(공포를 즐겨라)

   3. 시기를 분산하라

   4. 인내하라.

- 에셋플러스의 3대 투자원칙 

   1. 현재의 기업환경 < 미래의 기업 환경      ---> 인공지능, 빅데이터  

   2. 견고한 비즈니스 모델                             ---> 미래 에너지는 전기에너지로 통일 될 것이다. 

   3. 불황을 더 좋아하는 기업                        ---> 수많은 기업이 경쟁에서 도태될 것인데 금리로 인한 현상일 것.

                                                                           부채의 총량 증가로 인한 경제 충격은 크게 올 것임.  

- 생활속에서 떠날수 없는 기업은 주식을 팔지말고 가지고 있어라. 

- 강방천 회장의 좋은 기업을 선택하는 기준 

   1. 미래의 기업환경에 적응 가능한가?

   2. 좋은 이익의 질을 만드는 좋은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는가?

   3. 1등 기업으로 불황을 즐길수 있는가?

- 삼성전자는 반도체 산업의 경우 수익의 상당수를 매년 재투자하여야 함. 차라리 현금을 가져오는 회사를 투자하라. 

   하지만 가격적으로는 매력있는 구간임. 

- 카카오는 과대 평가되어 있던 상태로 보임. 하지만 우리가 사용하지 않는가?

  가격은 가치에 종속된다. 가치적인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보임.

- 2008년 모바일 디지털 네트워크 등장으로 혁신이 발생되었음. 이전에는 사람+자본+토지로 학습했음. 

  하지만 혁신 이후로는 구글처럼 인터넷만 있으면 되기때문에 세상의 모든것을 바꿔버리는 생산요소의 등장!

- 2008년 이전이라면 사업을 확장하는 것이 좋은 기업이었는데 그것은 제조업. (서비스없은 수출이 안되었음.)

  이제는 서비스업이 수출이 되는 세상임. (구글, 넷플릭스, 웹소설, 음반(스트리밍) 등)  --> 다운로드 = 수출

   ------> 이런것이 생태계의 전환이다!!!!!

- 사령관 기업을 찾아라. (꼭대기에 있어서 모든 기업들 다시리는 기업)

     PC : MS, Apple

     스마트폰 : Apple, Google

     전기차(OS) :  tesla

- 성공투자의 원칙 : 떨어지면 사고, 오르면 팔아야 함. 

   따라서 Passive Fund는 오르면 사고, 떨어지면 파는 구조이므로 정상이라고 할수 없음. 

   상승장에서는 가능하나 이제 그러한 시대는 끝난다고 본다. 

- 좋은 Active Fund를 고르는 방법 

     : 좋은 식당 고르는 법과 같다. 

           1. 메뉴가 적어야 한다. (상품이 적어야 한다.)

           2. 주방장 출신이 Owner가 있어야 한다. (Fund Manager가 오너로 있어야 한다.)

- 미래에는 근로 소득이 줄어들 것이다. 

    (농업시대) 일주일 내내 일해야함. -> (노동시대) 주 5일 -> (미래) 자본소득이 있어야 한다. 

    공포의 순간에 미래에 어떻게 영향을 줄것인지 계속 확인하라, 그리고 떠나지 마라!!

 

# 본 글은 주식 매수 매도 추천글이 아닙니다. 또한, 단순한 정보 정리를 위함이며, 투자 권유를 위한 글은 아닙니다.

# 본 글에서 거론된 주식의 매수, 매도는 투자자 본인의 판단이며, 그 결과 또한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