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테그 : 경기가 안좋은 상황(경기침체) --> 물가 상승 --> 임금 미상승 --> 원자재 증가 --> 1,2,3차 산업으로 확대
[전인구경제연구소] 22.3.15
- 경제는 개념이랑 실전은 완전히 다르다.
- 인플레이션 : 경기가 좋은 상황 --> 물가 상승 --> 고용 증가/임금증가 --> 소비 증가 --> 구매력 증가 --> 할부 구매
--> 미래의 실적을 당겨씀. --> 주식/부동산/임금 증가 --> 투기 증가 --> 스테그플레이션으로 전환...
- 스테그플레이션
: 경기가 안좋은 상황(경기침체) --> 물가 상승 --> 임금 미상승 --> 원자재 증가 --> 1,2,3차 산업으로 확대
==> 인플레이션의 끝자락!!!
- 경기 침체(=고용 침체기)
- 스테그플레이션 = 물가 > 성장률
--> 공장을 지으려는데 원자재 폭등으로 투자 감소 --> 고용 감소 --> 매출 감소 --> 물가 상승
(중앙은행) --> 물가를 누르자! -->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 인상 --> 물가/투자/고용이 잡힘 --> 경제성장률/물가 하락
--> 강한 물가 억제 --> 경제성장률 추가 하락
- 1970년 초반 1차 오일쇼크 -> 1980년 2차 오일쇼크 --> 물가에 영향을 받지않는(전가할 수 있는) 기업들이 성장함.
- 우크라-러시아 전쟁 이후 물가인상이 value chain으로 점차 확대 --> 경제 침체
- 스테그플레이션이 길어진다면?
: 중앙은행은 금리인상을 단행함. --> 경기 침체 --> 부동산 상승 불가 --> 이자 부담 증가
(인플레이션이라면 --> 경기 상승 --> 부동산 상승 --> 이자 무시)
- 스테그플레이션은 역사적으로 길었던 적이 없음. 대략 1~2년.
- 투자자들은 스테그-인플레를 나누지 말고 투자를 지속하자!
- 일반적으로 스테그 시절에는 지수상승이 적다.
- 반도체처럼 성장하는 사업들은 지속된다.
- 원자재/금속/철강 사업들은 스테그에서 유리하다.
- 전기차/신재생에너지는 계속 성장해야하는 산업이라서 좋을 것으로 보인다.
'경제적 자유 > 유튜브 스승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물머리] 현금 알아서 챙겨주는 자산을 어떻게 찾을까? (0) | 2022.03.18 |
---|---|
[사경인회계사] 재무제표에서 이 3가지만 확인하면 주식투자로 부자 될 수 있다! (0) | 2022.03.16 |
[홍춘욱 박사] 왜 전쟁의 총포 소리에 달러가 강세를 보일까? (0) | 2022.03.14 |
[강환국 작가] 부자들이 모두 추천하는 그 책, 부의 추월차선 (0) | 2022.03.13 |
[캔들스토리] 종목분석보다 개미투자자가 더 챙겨야 할 투자분석 '산업분석' (0) | 2022.03.12 |
댓글